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91

《개벽문화 북콘서트 대구편 1부》 - 왜 개벽인가? 왜 개벽인가, 왜 개벽이 이 세상 담론의 주제인가? 우리가 이 세상에서 한 생애를 살아가노라면 뜻하지 않은,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시련이 닥쳐옵니다. 고통과 숱한 삶의 고난, 삶과 죽음의 문제, 천지 안에서 벌어지는 헤아릴 수 없는 현상 문제, 모순과 갈등의 문제, 또 죄악의 문제가 있어요. 그리고 본래 인류는 한 뿌리에서 나온 한 형제인데, 어둠 속에 살고 있는 우리 영혼들이 어떻게 다 함께 하나가 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도 있습니다. 물론 각 종교에서 부르짖는 수천 년 동안 믿어온 그 믿음의 체계, 신앙의 금과옥조金科玉條, 위대한 가르침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 하나 됨의 길이 그렇게 단순한 것인가? 그 결론, 그 중심 주제가 무엇인가? 우리 인생은 무엇을 위해 태어났으며 우리의 삶의 목적, 역사의 .. 2024. 4. 11.
[일꾼의 양생학] 조화로운 삶, 수행 최근 웰빙Well-being 문화가 대중화되면서 이전보다 더욱 요가나 명상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이는 현대인의 삶이 복잡해질수록 건강과 휴식, 정신적인 평화를 갈망하는 자연스러운 삶의 모습이라 할 수 있겠다. 이번 글에서는 지금 현대인들에게 꼭 필요한 수행이란 무엇이며, 수행의 과학적 효과와 올바른 수행방법, 생활 속에서 간단히 실천할 수 있는 명상법 등을 살펴봄으로써 수행을 통해 어떻게 나의 삶을 조화로운 삶으로 만들 수 있는지 알아보자. 지금 현대인들에게 필요한 것은? 지금 현대 사회를 사는 사람들은 끊임없는 경쟁에 시달리며 각종 스트레스에 심신이 지쳐 있다. 그래서인지 과거 어느 때보다 건강과 휴식, 정신적인 평화를 갈망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그런 사회적인 흐름 속에서 ‘수행과 명상’이 .. 2024. 4. 10.
“우리도 저곳에 같이 안치되고 싶다” 안○○/ 대구복현도장 오늘은 한 ○○ 도공법사님이 대구에 3차로 오신 날입니다. 도공법사님이 직접 주문을 읽어주시니까 저도 모르게 몸이 들썩들썩거렸습니다. 마치 하늘에서 금동아줄이 내려오는 것을 제가 손으로 잡아 끌어당기듯 하였습니다. 또 제 허리가 뒤로 낭창하게 꺾이면서 마치 하늘로 올라가려는 것 같은 동작들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지기금지원위대강’으로 주문이 바뀌면서 제가 도공법사님이 계신 자리로 가면 안 된다는 걸 알면서도 저도 모르게 갔습니다. 그렇게 법사님 쪽으로 가다가 뒤가 밝아지는 것을 느꼈습니다. 그래서 뒤에 무엇이 있는가 싶어서 돌아서 봤는데 조상신단이었습니다. 조상신단이 앞에 있음을 느끼니까 저도 모르게 가슴이 찢어지듯이 아팠습니다. 마음속에서 ‘아, 우리도 저기에 안치되고 .. 2024. 4. 9.
“일평이가 동아줄이니 일평이를 잡소” 정 ○○/ 목포옥암도장 아! 입도에 즈음한 이 마음을 어찌 말로 다 표현할 수 있을까요. 제 나이 정유생丁酉生, 60살에 철들었다고 말하면 남에게 코웃음, 비웃음을 받겠지만 어쩌란 말입니까. 입도수기를 계기로 60인생을 반추해 봅니다. 남해안의 조그마한 섬(완도군 청산도)에서 4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나신 부친께서는 당시에 꽤 규모가 되는 어업에 종사하신 할아버지를 도와 살림을 꾸리고 계셨습니다. 부친은 다른 두 숙부와는 다르게 백부님과 함께 자식이 없는 고통 이외에는 비교적 넉넉한 살림이었습니다. 할아버지께서 일평日坪과 일영日英으로 이름을 지어 놓으시고 양가의 씨종자 하나씩만을 바라시며 해마다 이루어지는 당산제 담당을 수년간 아버지가 맡게 하셨습니다. 그렇게 아들 하나만을 소원하던 중 아버지 44세,.. 2024. 4. 8.
진리를 알고서 신앙을 해야 신앙이라 하는 것은 사상 신앙을 해야 한다. 인류 역사를 통해서 많은 종교가 있지만 대개 기복신앙을 한다. 빌 기祈 자, 복 복福 자. 복을 비는 신앙. 세상에서 갖은 못된 짓 하고서 신앙의 대상인 교조에게 ‘복을 주십시오.’ 하고 복을 비는 신앙을 한다. 그런 신앙은 엄밀히 말해 신앙이라 할 수 없다. 신앙은 진리를 알고서 해야 한다. 왜 이런 신앙을 하느냐 하는 신앙의 핵심, 기본 진리를 알고서 신앙을 해야 한다. 상제님 진리의 대의 한민족의 혼을 되찾는 증산도 한 나라의 문화 수준을 알려고 하면 그 나라 종교 수준을 알면 된다. 그 나라의 종교가 자체적으로 발생된 종교라든지, 어떤 종교가 수입됐다든지, 이러한 수준을 알면 그 나라의 문화 수준을 알 수가 있다. 증산도는 민족의 혼을 건지려고 하는, .. 2024. 4. 7.
[일꾼의 양생학] 무병장수의 꿈 무병장수無病長壽는 모든 인류의 꿈과 소망이다. 인류는 지난 수천 년 동안 불로장생의 명약을 찾기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해 왔다. 그러나 그 누구도 죽음의 벽을 넘지 못하고 일생을 마감했다. 과연 모든 인간이 그토록 갈망하는 무병장수의 꿈은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일까? 아니면 불원한 장래에 현실로 다가올 수 있는 것일까? 이번 글에는 현대의학의 눈부신 발전으로 무병장수의 꿈이 현실로 성큼 다가오고 있음을 살펴보고, 무병장수의 삶을 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나아가 무병장수를 이루는 진정한 길은 무엇인가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무병장수의 꿈, 현실로 성큼 다가오다 인간의 노화가 질병이면 질병은 치료할 수 있다. 현재 수명을 500세 혹은 1000세까지 늘릴 수 있다. -오브리 드 그레이 박사 영국의.. 2024. 4. 6.